하버드 스타일 레퍼런스 가이드 (국문 / 영문) / Harvard Referencing Guide (Korean/English)

학부시절엔 레퍼런싱이라곤 별로 할일이 없어서 정확한 규정을 모르고 아무 논문에 있는걸 따라하곤 했었는데, 졸업 전 연구소의 저널 편집팀에서 일하면서 레퍼런싱을 어떻게 하는 것인지 많이 배웠다. 얼마전 여기서 에세이를 쓰면서도 레퍼런싱을 많이 했어야 했는데, 다행히도 내가 다니는 학부는 하버드 스타일 레버런싱을 하는 학부라(사회과학계열은 대부분 하버드 스타일을 한다고 한다.) 연구소에서 하던대로 하니 크게 틀리는 것은 없었다. 그래도 영어로 하는거다보니 약간 달라서 나름 정리를 해 보았다.
*하버드 스타일 레퍼런스는 기관마다 세부적인 부분이 약간씩 다르다. 여기서 정리한 것은 국문 스타일의 경우 '한국정치학회'의 스타일이고, 영문 스타일의 경우 University of Bradford에서 쓰는 방식을 정리한 것이다.

도서관 내 자리,


하버드 스타일 레퍼런스(출전 표시) 가이드 (국문/영문)

왜 레퍼런싱을 해야하는가?
1. 표절을 피할수 있다. 
2. 인용한 자료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3. 독자가 글에서 저자의 생각과 인용된 생각을 구분할 수 있다.
4. 당신의 주장을 뒷받침 하는 증거들을 보여줄 수 있다.

하버드 스타일 레퍼런싱의 특징
1. 각주대신 본문에 출처를 밝힌다. 
2. Reference List 혹은 Bibliography (참고문헌)가 있다.
본문에서는 저자의 성과 출간년도만 표기하기 때문에, 인용한 자료 모두는 Reference List(참고문헌)에 가나다 순 혹은 abc 순으로 정리해주어야 한다. Bibliography는 본문에 언급되지 않은 자료도 기재하는 스타일인데, 기관에 따라서 이를 요구하는 곳이 있으니, 어디에서 글을 쓰느냐에 따라 고려하면 된다.

*아래 예문들의 일부는 내가 만들었고, 대부분은 한국정치학회 홈페이지 규정집이나, 다른 논문들에서 따왔다. 앞서 말했듯, 같은 하버드 스타일이라도 기관마다 스타일이 다르기 때문에, 한국정치학회와 University of Bradford의 스타일에 맞추어 약간 수정을 가한 것도 있다. 논문들의 리스트는 글의 가장 아래 기재하였다.

1. 저자명이 글에 나와 있는 경우
- 직접인용: 글에 언급된 저자의 이름 뒤에 괄호를 열고 출간년도와 쉼표(,) (영문 스타일의 경우 콜론(:))을 쓴 후 한 칸 띄우고 페이지를 적어준다. (직접인용과 패러프레이즈 인용법에서 가장 큰 차이는 페이지를 쓰느냐 안쓰느냐에 있다.)
홍길동(2015, 10)은 이 상황에 대해 "갑자기 이게 왜 안보이는지 신기할지경이다"라고 묘사했다. 
Modeleski (1964: 20) makes a similar point: “Every internal war creates a demand for foreign intervention”.

- 패러프레이즈 (다른 사람의 아이디어를 훼손하지 않는 선에서 자신이 이해한대로 바꾸어 쓴 것을 말함.)
정종은(2013)은 영국 창조산업 정책이 부상하게 된 개념들을 살펴봄으로써 영국 창조성 개념의 근원을 찾고자 한다.  
Banfield's (1958) observation of amoral politics in the southern Italian village has drawn so much attention precisely because it violates the Western norm of politics without reproach. 
(외국 저자의 문헌을 인용할 때는 외국어로 표기된 성과 출판 연도를 함께 표기한다. 아래 예 참조) 
먼저 하틀리(Hartley 2005)는 창조산업을 지식경제의 핵심으로 보고 있다. 

2. 저자명이 글에 나와 있지 않은 경우
- 직접인용 (다시 말하지만, 페이지를 적을 때 한국정치학회 스타일은 쉼표를 영문 스타일은 콜론을 이용한다.)
예문을 찾다 지친 사람 중 한명은 자신의 상태를 이렇게 묘사했다. "평소에 그렇게 많이 보이던 직접 인용구들이 갑자기 다 증발한 것만 같았다" (홍길동 2015, 11)
What is required to redress this theoretical gap is a social theory, or at least a frame of reference based on systematic general categories, in which the historical-developmental aspect is reconstructed with respect to different epochs and which takes into account the structural dynamics which condition the emergence and behaviour of actors (Gantzel 1997: 139).
- 패러프레이즈
사회 내 존재하는 집단적 기억을 유지하고 재생하는 장치는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는데, 대표적인 것이 국경(기념)일, 기념물과 박물관 등이다(김상준 2005).
Indeed, Sierra Leone would pass Samuel Huntington’s simplistic two-turnover test of democracy consolidation (Huntington 1991).
3. 저자가 2명인 경우.
- 저자가 2명인 경우의 규정에 대해서는 한국정치학회에서 따로 정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통상적으로 가운데점(·)을 많이 활용한다. 영문스타일의 경우 'and'를 이용한다.
의적들은 자신들의 행동에 많은 자부심을 가졌었다(홍길동·장길산 2015).
Rooney and Messi (2015) agree that Twitter is waste of time.

3. 저자가 3명 이상인 경우
- 저자가 3명 이상인 경우는 한 저자의 이름만 표기하고 한 칸을 띄운 다음 “외”라는 말을 붙여 저자가 세 사람 이상임을 나타낸다. 영문 스타일의 경우 "et al."라는 말을 쓴다. 세사람 중 원래 논문에 가장 먼저 언급되어 있는 사람을 쓰는게 보통이다. 본문에서는 이렇게 쓰지만, 참고문헌에는 모두를 적어야한다.
때로는 경제를 이끄는 데 그치지 않고 사회적 통합과 정체성, 다양성 등의 개념으로 전환되어 설명되기도 하는데, 무형자산의 파급력에 관심이 모아지면서 그 적용 범위가 확대되는 추세라 하겠다(김정곤 외 2013).
Nurse supplementary prescribing may be particularly useful in mental health care (Jones et al. 2007).

4. 한 번에 여러 문헌을 언급해야 하는 경우 
- 세미콜론(;)을 이용하여 출간년도가 빠른 문헌의 저자부터 적어준다. 
이처럼 영국 창조경제 정책에 관한 기존연구에서는 개별 지역이나 프로그램에 국한되어 주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이외의 창조경제에 대한 논의에 대해서도 거시적 차원에서 개괄적으로 진행된 편이다(구문모 2008; 김의준 외 2009; 박성호 외 2012).
In many cases, these refugees became the source of new conflicts, such as in Sierra Leone and Zaire in 1996 (Bercovitch and Jackson 1997; Jackson 2000a).

5. 신문, 주간지, 월간지 등의 무기명 기사의 경우
예를 들어 2014년 8월말을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스마트폰 가입자 수는 3,965만 명에 이르고 있다(디지털타임스 14/10/14)

6. 기타사항(한국정치학회 스타일) 
- 이 부분은 복잡하기 때문에 한국정치학회 홈페이지의 규정을 그대로 옮겨왔다.

1) 한글 사용: 논문은 한글 사용을 원칙으로 한다. 한자는 혼란의 우려가 있을 경우에 한하여 사용하되 먼저 한글을 쓰고 괄호 속에 한자를 부기한다. 
예: ...지체주의(肢體主義)...
(2) 외래 용어: 통일된 역어가 존재하지 않는 외래 용어의 경우 첫 번에 한하여 한글 역어를 적고 괄호 안에 외래 용어를 부기한다. 
예: ...조합주의(corporatism)...
(3) 외국 인명: 외국 인명은 교육부의 외래어 표기법 기준에 따라 현지의 발음대로 표기하며 첫 번에 한하여 한글 표기에 이어 괄호 속에 원어 명을 부기한다. 
예: ...마오쩌둥(毛澤東)...; ...셰보르스키(Adam Przeworski)...
(4) 외국 지명: 외국 지명은 교육부의 외래어 표기법의 기준에 따라 현지의 발음대로 표기한다. 단, 혼란의 우려가 있을 경우 첫 번에 한하여 한글 표기에 이어 괄호 속에 원어 명을 부기한 다. 
예: ...뉴욕...; ...치앙마이...
(5) 외국 기관, 단체, 정당의 명칭: 외국 혹은 국제적인 기관, 단체, 정당 등의 이름의 통용되는 역어가 존재하는 경우 이를 사용한다. 예: 국제연합. 
그렇지 않은 경우 논문 중에 처음 등장했을 때 한글 번역 명과 괄호 속에 통용되는 원어 약어와 원어 명을 병기한 다음 이후에 언급할 때는 원어 약어를 사용한다.
예: 유럽 통화 제도(EMS: European Monetary System)는 역내 통화 간의 가치 안정을 실현하는 동시에 회원국 간의 경제적 격차를 해소할 것을 목적으로 1979년 3월에 창설되었다. EMS에는 현재 유럽공동체의 12개 회원국 모두가 가입하고 있다.



7. Reference List / Bibliography (참고문헌) 작성하기
1. Reference List는 기본적으로 본문에서 언급된 자료만을 기록한다. 하지만 Bibliography는 본문에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글쓴이가 참고한 자료도 포함하는 것을 말한다. 기관에 따라 Reference list로 쓰기도, Bibliography로 쓰기도 한다.
2. 같은 저자의 여러 자료는 연도순으로 배치하고, 같은 해에 발간된 자료가 둘 이상일 경우, 글에서 언급된 순서에 따라 발행년도 뒤에 a,b,c를 붙여서 구분한다.
3. 각 문헌은 한글로 작성한 문서의 경우, 한글-영문-기타언어 순으로 배열하고, 저자명을 기준으로 가나다, abc순으로 기재한다.

(1) 저서 (파란색이 한국정치학회 스타일, 빨강색이 University of Bradford 스타일)

홍길동·장길산. 1996. 『조선 의적사 연구』. 서울: 개벽사.
Bell, Daniel. 1973. The Coming of Post-Industrial Society: A Venture in Social Forecasting. New York: Basic Books.

Roberts, K. (2008) Key concepts in sociology. Basingstoke: Palgrave Macmillan. 

(2) 저널 수록 논문

이사마. 1993. “법가의 유가적 기원.” 『계간 춘추』 12(2), 101-22.
Jilberto, Alex E. Fernandez. 1991. “Military Bureaucracy, Political Opposition, and Democratic Transition.” Latin American Perspectives 18(1): 32-65.

Robards, B. and Bennett, A. (2011) MyTribe: post-subcultural manifestations of belonging on social network sites. Sociology 45 (2) 303-317. 

(3) 학위논문

홍길동. 1992. “조선 후기 민란의 도덕 경제.” 집현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Cincura, M 2012, Beyond profit-centric: transcendent business modelling. Ph.D thesis, Swinburne University of Technology.

(4) 편저서의 글 (편저서의 한 챕터를 인용할 때)

장노자. 1991. “국가권력과 시민사회.” 김서방·연놀부·이어도 편. 『국가 이론의 재조명』, 231-263. 서울: 호박사.

Croall, H. (2007) Social class, social exclusion, victims and crime. In Davies, P., Francis, P. and Greer, C. editors. Victims, crime and society. London: Sage, 50-77. 

(5) 인터넷 자료 (한국정치학회에 인터넷 자료에 대한 규정은 없어서, 내가 일했던 연구소 평화연구소의 규정을 빌려왔다.) 

홍길동. 2002. “한국의 문화산업 정책.” http://koreaculture.ac.kr/cul0101.html (최종검색일: 1998/10/20).

Howard League for Penal Reform (2011) Deaths in prison custody.  
http://www.howardleague.org/deaths-in-prison/ Accessed 22nd October 2014.



Bibliography 
김기정 (2015) 한국전쟁 영화와 공감 기획 : 정치적 대결을 넘어 화해의 열망으로. 문화와 정치 2(1) 1-22.
김만권 (2015) 디지털 시민권과 시민정치의 활성화. 문화와 정치 1(1) 95-120.
김새미 (2014) 영국 창조경제의 개념 변화 및 정책 고찰. 문화와 정치 1(2) 95-123.
한국정치학회 (no date) 한국정치학회보 원고 작성 요강. http://www.kpsa.or.kr/introduction/[%ED%95%9C%EA%B5%AD%EC%A0%95%EC%B9%98%ED%95%99%ED%9A%8C]%20%ED%95%9C%EA%B5%AD%EC%A0%95%EC%B9%98%ED%95%99%ED%9A%8C%EB%B3%B4%20%EC%9B%90%EA%B3%A0%20%EC%9E%91%EC%84%B1%20%EC%9A%94%EA%B0%95.pdf Accessed 11th November 2015.

Ekeh, P. (1975) Colonialism and the Two Publics in Africa: A Theoretical Statement. Comparative Studies in Society and History 17(1) 91-112.
Jackson, R. (2002) Violent Internal Conflict and the African State: Towards a Framework of Analysis. Journal of Contemporary African Studies 20(1) 29-52.
University of Bradford (2015) Guide to referencing using the Harvard System. 

4 댓글

  1. 영어로 쓸 경우 성만 쓰는게 맞나요?

    답글삭제
  2. 제가 설명드린 하버드 스타일에서는 본문에서는 성만, Bibliography에서는 성은 다 적고 이름(First Name)은 약자로 표기합니다.

    답글삭제
  3. [1] McKinsey, “Big Data : The Next Frontier for Innovation, Competition, and Productivity”, McKinsey & Company, 2011년 5월

    이런 형식으로 작성된 참고문헌을 하버드 스타일(파란색으로) 바꾸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ㅠㅠ

    답글삭제
    답글
    1. 구글링해보니 저 문헌의 저자는 James Manyika, Michael Chui, Brad Brown, Jacques Bughin, Richard Dobbs, Charles Roxburgh, Angela Hung Byers네요. 본문에서 인용표시하시려면 (Manyika et al. 2011)이나 Manyika et al.(2011)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Bibliography에서는 Manyika, J. and Chui, M. and Brown, B. and Bughin, J. and Dobbs, R. and Roxburgh, C. and Byers, A. H. (2011) Big data: The next frontier for innovation, competition, and productivity (May 2011). McKinsey Global Institute. 이정도 쓰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Bibliography에서는 사람마다 좀 달라서 and대신 &를 쓰기도 하고, 연구소 장소를 언급하기도 하고 그런 차이는 있습니다.

      삭제
다음 이전